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부, 발전사에 '망 사용료' 부과 추진… 전력망 부담 줄이기 위한 대책

by 이끼뀽뀽이 2025. 3. 10.
반응형

정부가 그동안 무료로 송·배전망을 사용해온 발전사에 ‘망 사용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태양광 발전기의 급증으로 전력망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력망 투자 재원 마련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해외 사례와 비교해도 한국의 망 사용료 비중이 낮아, 이를 합리적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정부의 망 사용료 부과 추진 배경

✔ 한국전력은 전기연구원 및 고려대와 함께 ‘송·배전 이용요금 합리화 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발전사에도 망 사용료를 부과하여 전력망 투자에 필요한 비용을 확보하는 것이다.

📌 망 사용료란?
✔ 공용 송·배전망 및 전기 설비 등을 이용한 대가로 한전에 지급하는 금액
✔ 현재 발전사는 망 사용료를 부담하지 않으며, 그 비용은 한전과 소비자가 지불

📌 과거에는 왜 발전사에 망 사용료를 부과하지 않았나?
✔ 2002년, 전기위원회는 발전사와 전기소비자가 50%씩 부담하도록 결정했으나,
정부는 발전사가 망 사용료를 전기 도매가격에 반영해 소비자 부담이 증가할 것을 우려하여 부과를 유예

📌 그러나 최근 재생에너지 발전소 급증으로 부담 증가
2016년 태양광 발전기의 전력망 연결 신청 건수: 2만6623건
2023년(지난해) 연결 신청 건수: 22만5961건약 8.5배 증가
태양광 발전의 간헐적 특성으로 인해 전력망 안정성이 흔들리고 있음

📌 문제점
✔ 발전사에 부과되지 않은 망 사용료는 고스란히 소비자의 몫으로 전가
한전의 적자 증가 → 전력망 투자 여력 부족


📍 한국의 망 사용료, 해외보다 현저히 낮아

한전경영연구원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 한국의 망 사용료는 **㎾h당 12.9원으로 전기요금의 11%**에 불과하다.
✔ 반면 해외 주요국은 다음과 같은 수준이다.

📌 국가별 망 사용료 비율
일본: 33%
프랑스: 32%
독일: 25%

망 사용료를 현실화하지 않으면 전력망 투자 부족으로 인해 전력 안정성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음

📌 전력업계 관계자 발언
✔ “해외에서는 발전사들이 망 사용료의 2~10%를 부담하고 있는데, 최근 이를 높이는 추세


📍 망 사용료 부과 방식 – 지역·발전원별 차등 징수 검토

✔ 정부는 발전사의 입지 및 발전원별로 망 사용료를 차등 징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영국 사례: 지역별로 망 사용료를 차등화해 발전사들의 분산을 유도

📌 한국도 유사한 방식 도입 가능성
✔ 지역별 망 사용료 차등 적용 → 전력망 부담이 큰 지역에는 높은 요금 부과
✔ 발전원별 차등 적용 → 간헐성이 높은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발전에 더 높은 부담 부과 가능성

📌 추가적으로 검토 중인 방안
총전력 사용량이 아니라 ‘피크 부하’에 따라 망 사용료 부과
AI,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전력 소비 기업에도 적용 가능성


정부의 망 사용료 개편이 의미하는 바는?

📌 1. 전력망 투자 재원 확보 → AI·데이터 산업 성장 대비
✔ AI 혁명으로 전력 수요 급증 예상 → 전력망 확충 필요
✔ 하지만 한전 적자로 인해 투자 여력이 부족 → 망 사용료 개편 필요

📌 2.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새로운 규제 가능성
재생에너지 발전소가 급증하면서 전력망 부담 증가
✔ 태양광·풍력 사업자들에게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

📌 3. 전력 소비자 부담 경감 가능성
✔ 발전사들이 일부 부담을 지면, 전기요금 인상 압력을 일부 완화할 수 있음
✔ 하지만 발전사들이 이 비용을 전기요금에 반영할 경우, 소비자 부담이 여전히 존재할 가능성

📌 4. 기업들의 발전소 입지 전략 변화 가능성
지역별 망 사용료 차등 적용 시, 전력망 부담이 적은 지역으로 발전소 이전 유도 가능


🚀 앞으로의 전망 – 전력망 개편이 가져올 변화

✔ 정부의 망 사용료 개편 방안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전력 시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한전의 적자 해소 및 전력망 확충이 가능해지는 반면, 발전사들은 추가 비용 부담을 안게 될 전망이다.
✔ 특히, 태양광·풍력 발전사의 반발 가능성도 존재하며, 전력 요금 인상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 정부가 발전사들에게 망 사용료를 부과하는 정책을 최종 확정하면, 향후 전력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은 다음과 같다.

단기적으로는 발전사들의 반발 및 요금 인상 가능성 존재
중장기적으로는 전력망 투자 확대 → AI·데이터 산업 성장 기반 마련
지역별 발전소 입지 변화 → 전력망 부담이 적은 지역으로 재편 가능

🚀 전력망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 변화, 전력시장과 소비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반응형